흙막이 경험적 추정 안정성 평가, 흙막이 변위
ENGINEER/토목-Civil반응형
흙막이 해석 범위 : 3H 양쪽, 2H 하부까지 수치해석 모델 작성

흙막이 해석 내용
- 벽체 수평변위 : 허용변위량과 비교
- 벽체 응력 검토 : Strut (휨응력, 압축응력), 띠장 (휨응력, 전단응력), 측면말뚝 (휨응력, 전단응력), CIP (압축, 전단, 인장)
- 인접구조물 검토 : 변위 및 부등침하, 각변위 1/500
- 지하매설물 검토 : 침하량
- 인접도로 : 침하량

탄소성 해석 : SUNEX
- 발생응력과 허용응력 비교
- 굴착저면 안전검토 – 근입깊이, 히빙(5.7, 5.14cu 와 파괴면을 따라 비교), 파이핑(보일링) (한계유속, Terzaghi, 동수구배, 유선망)

Peck

지반의 특성에 따라 지하안전영향평가시 해당 지역의 범위를 설정.
Caspe

굴착영향거리, 45+pi/2 기준 settlement 측정 및 분석/계측/관리

3.6D 정도까지 변위수렴구간으로 판단하여 검토 필요.


반응형
'ENGINEER > 토목-Civ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사태 예측 USLE RUSLE (0) | 2021.05.18 |
---|---|
암반 사면의 거동 (토층 심도율(SR), 블록 크기비(BR)) (0) | 2021.05.17 |
침하량 예측 (수평 압밀계수, 추가 성토고, 배수재) (0) | 2021.05.16 |
지열시스템 (기초, 터널) (2) | 2021.05.16 |
Group Pile Lateral Load Shadow, Edge, Gap 횡하중 무리말뚝 효과 (0) | 202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