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비저항 시험 (Electrical Resistivity Test, ERT)
ENGINEER/토목-Civil반응형
시추없는 원위치시험(물리탐사)으로,
시료 채취는 할 수 없지만 지반 상태를 저렴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신뢰도는 주변 영향 (지하수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어 크지 않은 편으로 다른 시험과 조합하는 것이 중요.

시추없는 원위치시험(물리탐사)으로,
시료 채취는 할 수 없지만 지반 상태를 저렴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신뢰도는 주변 영향 (지하수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어 크지 않은 편으로 다른 시험과 조합하는 것이 중요.

전기적으로는 지하 케이블 매설 시 케이블 피복두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시험이 필요한 경우도 있음.
1. 원리
- 물체의 종류에 따라 흐르는 전류의 양이 달라짐. 저항(비저항치, 옴m)
- 땅 속의 공극률, 유체의 성질, 포화도, 광물의 종류, 파쇄대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2. Conductivity : 비저항치의 역수
3. 비저항치의 예시

암석의 강도가 클수록 저항치도 크다.
공극률이 크면 작아진다.
풍화가 많이 되면 작아진다
지열이 크면 작아진다.
4. 시공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전극을 통해 전류를 흘려준다
등전위선 형성 : 균질 여부 확인
전극과 비저항 표시점의 위치는 보통 10~30m 적용 (일정 간격으로)

5. 결과치 예시

반응형
'ENGINEER > 토목-Civ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널의 각부 보강 (0) | 2021.08.14 |
---|---|
발파영향 및 시험발파, 라이닝, 하중분담율 (1) | 2021.07.16 |
전단특성 (사질토, 점성토) (0) | 2021.07.10 |
연약지반 하부개량 (PF, DCM, JSP), 전석, 호박돌 (0) | 2021.06.28 |
SCP (Sand Compaction Pile) 시공법 변경 (1) | 2021.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