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성 단층 (활성 단층)
ENGINEER/토목-Civil반응형
- Active Fault (활성 단층)
나라마다 함께 고려하거나 다르게 고려함.

- Capable Fault
지진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단층
50,000년 이내에 적어도 1회 변위가 존재한 단층
원자력 분야에서 중요하게 관심.
반경 5km 이내.
심각한 사고 방지. 안전성 확보
부지선정

고려사항
1) 지표변형 및 지진표면운동 예측 필요. SHA
2) 최대지진력을 평가하여 내진설계에 반영. (국내 0.2g 반영)
3) 중요도와 지진정보의 D/B 를 함께 고려한 설계 필요.
단층 불연속면의 강도 확인 방법은
아래로
http://huedor2.tistory.com/801
암반 불연속면 전단 강도 단층
단층 : 자연현상에 의해 형성된 붕괴면. 상대적 약한 지형. 붕괴의 원인 파쇄대 : 방향성, 파괴면의 밀집 - 블록 : 블연속면이 많이 교차, 탈락, Spalling - 각력 : 각진 암편이 느슨하게 결속 - 점토 :
huedor2.tistory.com
반응형
'ENGINEER > 토목-Civ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사지지대(Raker), 지지블럭(Kicker block) 의 안정성 및 설계 (0) | 2021.06.18 |
---|---|
터파기 폭 뒷채움재 조건 지지력(평판재하시험) (0) | 2021.06.17 |
Kogler의 지중응력 이론 (직선적 응력분포법) (8) | 2021.06.14 |
원주공동확장이론, Prandtle, 기초 전단파괴 (0) | 2021.06.14 |
지중구조물 감쇠 재료감쇠 기하감쇠 Damping (2) | 2021.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