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반 불연속면 전단 강도 단층
ENGINEER/토목-Civil단층 : 자연현상에 의해 형성된 붕괴면. 상대적 약한 지형. 붕괴의 원인

파쇄대 : 방향성, 파괴면의 밀집
- 블록 : 블연속면이 많이 교차, 탈락, Spalling
- 각력 : 각진 암편이 느슨하게 결속
- 점토 : 얇은 판형, 풍화가 심함.
불연속면의 전단강도
- 시험
1) 틸트시험(Tilt Test) : 직접전단시험. JRC (Joint Roughness Coefficient) 획득. 자중에 의한 흘러내림. 각도 산출.

전단강도 = 자중 x tan
2) 실내/현장 전단시험 : 하중 재하.
3) 삼축압축시험
- 전단거동
내부마찰각 : 습윤상태가 더 작음.
톱니모델 (Patton)
- 불연속면 모델
1) Patton Bilinear
자중이 작으면 톱니 고려
자중이 크면 톱니 파손

실제 거동의 비선형성 (Barton)
전단강도에 JRC, JCS 를 고려하여 반영. (JCS : Schmidt hammer 나 점하중시험으로 구함)
2) 암반사면의 경우 Bilinear 나 비선형 모델 적용이 어려워 Mohr-Coulomb 로 적용.
c, pi 를 RMR 통해 계산.
(경험식)

- 충전물 : 충전물 두께가 두꺼울수록 전단강도 감소. 충전물의 강도만큼만 저항 가능.
- 점하중 시험

- Hoek & Brown 의 파괴조건식 (비선형)

'ENGINEER > 토목-Civ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ow rule (Plasticity, Beyond Yield Stress) 항복 소성유동법칙, 경화법칙 (0) | 2021.05.11 |
---|---|
옹벽의 내진설계 Mononobe-Okabe (2) | 2021.05.10 |
직접전단시험(DSS, Direct Simple Shear), 삼축압축/인장 (TXC/TXE, Triaxial Comp/Exten) (0) | 2021.05.07 |
2차원 압밀이론 자중 압밀이론 Rowe cell test (0) | 2021.05.06 |
이력곡선 (Hysteresis Loop Modulus, Curve) 전단탄성계수 (0) | 2021.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