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성계수와 탄성침하 (Mayne, Poluos, Approximate Displacement Influence Factor)
ENGINEER/토목-Civil반응형
얕은기초의 침하량 산청
깊이에 따른 탄성침하의 영향범위 (Influence Factor)

시험을 통한 탄성계수의 산정
CPT : E=Gmax(2(1+v)
DMT : E=Ed(1-v^2)
http://huedor2.tistory.com/789
[토질 원위치 시험] 딜라토미터(Dilatometer) 팽창 변형률계
딜라토미터 (Dilatometer, DMT) 1. 특징 : 원위치 시험 2. 구성 : Blade (납작한 기구), Steel Membrane 3. 순서 : 해당 깊이에 삽입, 초기압력 재하, 압력증가, 간극수압에 해당하는 압력도 추려냄. Steel Membr..
huedor2.tistory.com
PMT : E 바로 구해짐.

침하(Settlement)의 계산
d=qBI/Es, qdI(1-v^2)/Es
D (1차원 압축계수) = (1-v) E / (1+v) (1-2v) (E: 3차원 배수 조건의 등방탄성계수) (v=0 이면 E=D)

여러가지 내용을 고려하여 (기초의 깊이, 연성/강성의 여부,
d center = qd Ig If Ie (1-v^2) /E
Ie : 깊어질수록 작은 값. 침하가 작아짐. (poisson 비가 작을수록 Ie 가 작아짐)
Ig : Flexible FDN 인 경우를 가정하고, 연약지반 깊이가 깊을수록 영향범위가 커짐. 침하가 커짐. (깊어질수록 E가 비례하게 커진다는 이론(Gibson type)을 적용하여) 그리고 Flexible 할수록 Ig 가 크다.

If : 연성이면 1, 강성이면 0.8.

반응형
'ENGINEER > 토목-Civ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뚝 시공 사례 (중굴식 T4, Casing Auger 타입) (0) | 2021.05.27 |
---|---|
내진 설계기준 일반 (기초, 옹벽, 비탈면 내진) (0) | 2021.05.27 |
산악지 터널/도로 설계 시 고려사항 (0) | 2021.05.26 |
풍화토 응력경로 압축 전단 시험 (0) | 2021.05.25 |
암반터널 블록이론 (0) | 2021.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