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동기초 설계기준
ENGINEER/토목-Civil반응형
구조물 설계기준을 요약해보았습니다.

일반
1. 작은 변형률의 지반특성, 동하중 특성, 지반-기초의 상호작용에 따른 동적거동해석
2. 정하중의 크기와 작용점. 진동하중의 특성/크기/가동 진동수
정하중 : 부등침하 방지를 위해 무게중심 연직선은 5% 편심 (평면치수 기준) 이내여야 한다.
동하중
1. 공진영향 최소화. (기계/기초/지반의 고유진동수 결정 필요.)
2. 1000 rpm(고속회전) : 기초고유진동수 < 작동 진동수 x 1/2 로 관리
3. 300 rpm(저속회전) : 기초고유진동수 > 작동속도 x 2 로 관리.

진동해석
1. 기초지반에 상응하는 강성계수와 감쇠계수를 사용. 진폭은 허용기준치 이내로 관리
2. 합성진동 시 상호 영향 고려
3. 근입깊이와 강성계수/감쇠계수 비례. (보정)
4. 기반암이 얕은 곳에 있으면 강성계수 증가, 감쇠계수 감소. (보정)
5. 허용 진폭은 기계 제작사 기준.


(A영역 : 정상, B영역 : 가벼운 결함, C영역 : 결함, 10일내 보수, D영역 : 파괴임박, 2일내 보수, E영역 : 위함, 즉시 중지)
지지력과 침하
- 허용 침하와 기계제작사의 허용치 고려.
- 심각한 진동조건에 대해서는 정하중 허용지지력의 1/2 만 고려
- 느슨한 조립토는 다짐 등의 방법으로 침하 발생 방지.
반응형
'ENGINEER > 토목-Civ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압밀도 평형간극수압 침하관리 강성지수 (0) | 2021.04.26 |
---|---|
[토질 원위치 시험] 딜라토미터(Dilatometer) 팽창 변형률계 (1) | 2021.04.23 |
흙막이 SCW MIP PIP DWM DCM SCF FJS (1) | 2021.04.16 |
동상민감성 판정기준, 부동토 부동수, 수분함량 (0) | 2021.04.14 |
사면 안정 해석법 (절편, 마찰원, Fellenius, Bishop) (3) | 2021.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