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긍정의 사소한 만족

용접 기호 완전 정복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키워드 : 목두께, 각장, 다리길이, 현장용접, 테스트 방법, staggered

기호 줄아래 쪽에 있는 것이 화살표를 가리키는 방향 쪽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
backing strip 명심하도록 하고.
Groove 칠 때 flushing 을 할 때만 저렇게 표현한다.

정보들이 들어가는데, 앞쪽에 붙는 것은 두께 정보들
두께는 목두께,
실제 목두께,
각장 등으로 나뉘고
staggered 도 있고, stitch 도 있다. 헷갈리지 말자.

butt 는 알겠고,
plug 도 알아야겠고,
spot 도 알아야겠고

Fillet 이면 목두께지만,
bevel 이면 bevel 두께로.

all around 는 상황에 따라 다르고

목두께는 이런 식으로 적도록 한다.

대칭이 아닌 모양인 경우 (fillet 이면 관계없겠고)
(Bevel 이나 K type)
오른쪽에서 가리키면 오른쪽이 flat
왼쪽에서 가리키면 왼쪽이 flat

왼쪽에서 가리키더라도 기호의 모양이 변하지는 않는다는 것 잊지 말자고.

용접은 중요한 것이 TEST
당연히 육안검사를 우선으로 하고
내부 결함은 볼 수가 없으니 NDT를 하도록 한다.
UT : 대형 가스관 등에 초음파이용
RT : 방사선, 뒤에 필름
MT : 자분탐상. 휴대성이 좋다.
PT : 빨간색, 하얀색 뿌리고 스며든 것을 보고 판단.

거기서 발견되는 결함의 종류는
1. 언더컷 : 전류가 높거나 빨리 하는 경우
2. 오버랩 : 전류가 낮거나 늦은 경우
3. 용입부족 : 전류가 낮고 빠른 경우.
4. 균열 : 강성이 너무 큰 경우. 예열/후열 필요. 모재에 각종 함유량이 많은 경우
5. 기공, 슬랙 : 급속한 응고나 느린 경우 슬랙이 선행.
6. 용락 : 전류가 높고, 아크가 길 때

용접 process 의 종류
AW : Arc Welding
OFG : OxyFuel Gas Welding
RW : REsistance Welding
SSW : Solid State Welding

AW
SMAW (Shielded Metal)
수동용접, 피복아크용접
장비 단순, 좁은 곳 가능, 생산성 낮음, 다량의 슬랙
GMAW (Gas Metal) - MIG/MAG
생산성 높고, 속도가 빠름, 용착효율, 슬래그 없음, 자동화, 모재 오염에 민감, 장비
GTAW - TIG
텅스텐, (Electrode, Filler), 모든 자재에 가능, 생산성 낮고 장비 비쌈.
SAW

반응형

'ENGINEER > 토목-Civ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M asphalt 아스팔트 (폐타이어)  (0) 2020.02.28
말뚝 시험 정리  (0) 2020.02.26
말뚝의 건전도 시험 (feat. CLS)  (0) 2020.02.21
흙 시험 KS F 23xx 시리즈  (0) 2020.02.14
한계성토고, 여성토, 압성토  (0) 2020.02.11

말뚝의 건전도 시험 (feat. CLS)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키워드 : 공대공 초음파 시험 (cross hole sonic logging), 건전도 시험, 현장타설말뚝, 충격응답기, 감마감마로깅, 충격반향기

목적 : 지중 모름. 대구경 현장타설말뚝의 확인 필요.

현장타설말뚝 파고/손상 종류 :
1. 지하수위 : 수중불분리재 사용, 슬라임처리 벤시아 사용하지만 결함 예상
2. 공사 중 : 철근망 딸려 올라옴. (철근망 부상방지근 설치하더라도)
3. 실제 손상 종류 : 선단부 콘크리트 불량 / 연약주면 손상/ 콜드조인트/재료분리/smear effect/슬럼프치가 낮음/철근부식



건전도 시험 :
1. 당초 : 코어링 -> 철근 손상
2. 공대공 초음파 시험 : 관 매입, 타설 후 물채움, 진폭/시간이 짧으면 오케이, 길고 진폭이 작으면 문제.
신호분석기, 깊이측정기, 타설 후 30일 이내 시험,
센서를 관에 기대면 안됨/시험관 위치문제/시험관과 콘크리트 사이 이물질/사용골재 변화
A -> D 양호(속도 저감율 10%) -> 신호 감지 왜곡/감지없음, 전파 시간이 빠름.
- 경제적, 깊이 제한 없음, 강성 제한 없음, 해석용이
- 주철근 외곽은 불가능, 시험관 위치의 의문, 시험말뚝 선정 필요, 미세균열 불가능, 시험 속도가 느림.



3. 충격반향기 : 가속도계, 해머, 신호분석기
- 간편, 준비 필요없음, 시험말뚝 아무거나
- 해석기법 요구, 전문가 필요, 오차, 길이의 제한, 비율 30이하, 변단면 불가, 주변 지반의 강성차이를 말뚝 차이로 인식할 수 있음.

4. 충격응답기 : 거의 비슷, 주파수 반응곡선, 길이와 응력파 속도로 면적 계산. 말뚝 머리 강성 정보

5. 감마감마 : 방사능. 주변 강성영향 받지 않으나 길이 제한, 콘크리트 밀도 파악, 경제적.

이상 : 그래프 이상
흠, 결점 : 품질/형상 문제
결함 : 내구성에 영향을 주는 흠, 결점

반응형

'ENGINEER > 토목-Civ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뚝 시험 정리  (0) 2020.02.26
용접 기호 완전 정복  (0) 2020.02.25
흙 시험 KS F 23xx 시리즈  (0) 2020.02.14
한계성토고, 여성토, 압성토  (0) 2020.02.11
수정동결지수, 동상, 동결심도  (0) 2020.02.10

흙 시험 KS F 23xx 시리즈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외우기는 힘들겠지만, 분류하는데 목적을 두며,
www.sjgqc.co.kr 에서 참조합니다.

(노상토 시험)
다짐 : KS F 2312 : 몰드(150x100), 램머, 저울, 체, 3~5층 다지고, 함수비 조절하면서 습윤밀도, 건조밀도를 구하고 플롯팅한다. 안비쌈.
평판재하시험 : KS F 2310 : 재하판 30,40,75, 게이지 놓고 0.35 초기값, 0.35씩 올리면서 15mm 처짐 찾기. 하중강도-침하량곡선, 지지력계수 산정. K30 = 2.2/1.5 K40 = 2.2 K75 : 큰 판으로 시험하면 같은 하중압력에 침하량이 크게 나와 작은 지지력 계수로 나온다. K30 기준, 콘크리트 포장 노상은 15, 아스콘 포장 노상은 20.
프루프롤링 : 도로교 시방서에 따라

함수량 : KS F 2306
현장밀도 : KS F 2311

(되메우기, 뒷채움)
다짐, 평판재하, 입도 : KS F 2302, 함수량, 현장밀도

(보조기층, 동상방지층)
다짐, 평판재하, 모래당량,실내CBR : KS F 2320 : 공시체3개, 4일간 수침, 분당 1mm, 0.1", 0.2" 마다의 하중눈금, 표준하중 기준 6.9MN/m2, 10.3MN/m2, 노상 30이상 체가름, 함수량, 현장밀도.

소성한계 KS F 2304 : 3mm 국수모양, 부스러질 때의 함수비, PI 10 : 동상방지층, 되메우기, 뒷채움 : 6이하 보조기층, 4이하 입도조정기층. (액성한계 2303, 수축 2305: 함수량에 따라 흙이 용적이 줄지 않는데 함수량 늘리면 용적이 증가하는 함수비. 부풀어오른다.)

압밀 (KS F 2316) : 압축지수/팽창지수/선행압밀응력/압밀계수. 시료에 하중-침하량, 시간-침하량, 비배수로 시행. 지반정수 압밀계수 (Cv, cm2/s), 체적변화계수(mv, cm2/kgf) 를 구하여 예상 침하량, 압밀도 등을 계산할 수 있다. 투수성이 낮은 포화 점성토에 하중을 가라고 과잉간극수압을 연직으로 소산.

일축압축 (KS F 2314) : 응력-변형, 예민비를 위함. 비배수전단강도 추정. 파괴까지 하중-변형량측정
직접전단 (KS F 2343) : 시료 변형에 따른 저항력, 잔류강도, 한계간극비, 내부마찰각, 점착력, 수직과 전단 동시에.




 

반응형

'ENGINEER > 토목-Civ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 기호 완전 정복  (0) 2020.02.25
말뚝의 건전도 시험 (feat. CLS)  (0) 2020.02.21
한계성토고, 여성토, 압성토  (0) 2020.02.11
수정동결지수, 동상, 동결심도  (0) 2020.02.10
누두지수, 최소저항선  (0) 2020.01.30

한계성토고, 여성토, 압성토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키워드 : 단계성토, 유의사항, 연약지반, 안전율, 급속시공, 구배, Heaving

한계성토고 : Hc = q / rt Fs
성토재의 단위중량
극한지지력 = 5.14 (meyerhof) x cu (비배수전단강도)




여성토 : 흙이 다져져서 내려앉을 것을 예상하고 규정된 것보다 더 높이 쌓은 흙. 여성토 구배를 고려할 필요 있음. (h=0.3-0.5m, w=0.5-1.0m)
압성토 : 지반파괴 방지. 보강(안전율 증대), 본체높이 H, 압성토 폭 2H, 높이 H/3


반응형

'ENGINEER > 토목-Civ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뚝의 건전도 시험 (feat. CLS)  (0) 2020.02.21
흙 시험 KS F 23xx 시리즈  (0) 2020.02.14
수정동결지수, 동상, 동결심도  (0) 2020.02.10
누두지수, 최소저항선  (0) 2020.01.30
용탈현상, Leaching 현상  (0) 2020.01.29

수정동결지수, 동상, 동결심도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키워드 : 동결심도, 공식, 동결발생원인, 대책, 동상메카니즘, 기초바닥, 모세관, 투수계수 10-3 cm/s



수정동결지수 = 동결지수 + 0.9 x 동결기간 x 표고차/100 (F, C 의 경우 0.5)

1. 표고차를 고려한다. (기준지역보다 높으면 지수 커짐.)
2. 200m 차이 나는 지역에 60일 동결기간이면 390 동결지수가 450으로 변하는 느낌. (섭씨 기준)

동상방지대책 : 치환, 단열, 발포폴리스틸렌, 안정처리(시멘트, 석회), 배수, 기초 내리기, 차수

동결심도 정수 3(햇빛,양호)~5(실트,침투)



동상원인 : 아이스렌즈, 모세관 큰 실트질, 온도, 지하수위

모세관 : 간극수압의 차이에 따르며, 아이스렌즈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간극이 줄어 수압이 몰림. 물이 추가됨. 모래 자갈은 투수가 잘되어 모관상승이 적고, 투수성이 낮으면 또 필요가 없다. 10-3 기준으로 잘 발생하고 그보다 작으면 또 발생 안함.

모관상승고 : 흙의 성질에 따른 hc = c/ e D10 (c=0.1~0.5 cm2)


반응형

'ENGINEER > 토목-Civ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 시험 KS F 23xx 시리즈  (0) 2020.02.14
한계성토고, 여성토, 압성토  (0) 2020.02.11
누두지수, 최소저항선  (0) 2020.01.30
용탈현상, Leaching 현상  (0) 2020.01.29
SAND CONE TEST (DRY DENSITY)  (0) 2017.03.04

누두지수, 최소저항선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키워드 : 발파, 누두지수, 원뿔, 최소저항선, 과장약, 표준장약, 약장약

1. 누두지수의 정의 : n = r/W, r : 누두공반지름.

2. 누두지수와 장약량 판단
- 누두지수 계산
- 3가지 장약 상태
- 과장약 : 파쇄정도가 심하고, 비산우려, 환경(진동, 비산, 소음) 문제
- 표준장약 : 안정성 확보
- 약장약 : 공발현상, 부석 잔존
- 공발현상 : 폭발 가스만 균열층 통해 새어 나감




3. 누두지수의 활용
- 장약량 결정 : 최소저항선과 누두지수의 곱
- 암반의 종류, 폭약의 위력에 따라 달라짐.
- 누두공 시험을 통해 결정, 자유면 발파를 통해 발파효과 산정
- 공발 방지를 위한 표준장약 결정. 누두지수 줄이거나 늘리기 위해 최소 저항선 조정




반응형

'ENGINEER > 토목-Civ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 시험 KS F 23xx 시리즈  (0) 2020.02.14
한계성토고, 여성토, 압성토  (0) 2020.02.11
수정동결지수, 동상, 동결심도  (0) 2020.02.10
용탈현상, Leaching 현상  (0) 2020.01.29
SAND CONE TEST (DRY DENSITY)  (0) 2017.03.04

용탈현상, Leaching 현상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관련 키워드 : 용탈현상, Leaching 현상, 예민비, 액성한계, 약액주입공법, 어스앵커, LW grouting, 점토, 해성점토

1. 정의 : 지중 간극수 중의 염분이 지하수위 상승 등 담수유입에 의해 용해, 유출하는 현상. = leaching, 입자사이의 화학적 부착력이 저하되어 전단강도도 저하, 압밀침하, 투수계수, 민감도 등에 영향. 침하발생.


2. 용탈현상에 의한 변화
- 점토의 간극비, 투수계수 감소,
- 압축지수 증가 (Cc = 0.009(LL-10))
- 해저 점토가 지반의 융기로 생성되는 경우, 예민비가 크고, 강도가 적고, 교란에 약한 상성 형성. (해성점토 = 퀵클레이)
- 예민비 8이상 퀵클레이, 64이상 엑스트라 퀵클레이
- 자연함수비가 액성한계보다 큼.

3. 용탈현상의 해석
염분농도가 일정부분 이상 커지면 예민비가 극도로 커짐.
(예민비란 자연/교란 일축압축강도)
염분농도가 커질수록 액성한계가 낮아짐.
물유리계 그라우팅이 주성분인 실리카(SiO2)가 빠져나가면서 압축강도 감소, 투수계수 증가 하는 현상



4. 용탈현상의 대책
- 지하수위 관리
- 조사, 측정으로 예민비가 높은 토사의 경우 치환, 약액주입 등으로 지반개량
- 차수벽 설치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Silica 성분이 빠져나가는 것도 Leaching
- 나트륨 이온을 줄인 고강도 그라우팅 자재 -> 실리카 용탈 줄임.
- 영구적인 약액주입 목적의 공유 용탈에 의한 내구성을 설계에 반영 필요.
- 중성실리카졸, 우레탄계 사용, 시멘트 위주의 혼합 공법, MSG(Micro Silica Grouting), 농도를 높인 고강도 혼합제 사용. 수분 최소화. 밀실 충전.

반응형

'ENGINEER > 토목-Civ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 시험 KS F 23xx 시리즈  (0) 2020.02.14
한계성토고, 여성토, 압성토  (0) 2020.02.11
수정동결지수, 동상, 동결심도  (0) 2020.02.10
누두지수, 최소저항선  (0) 2020.01.30
SAND CONE TEST (DRY DENSITY)  (0) 2017.03.04

[자료] 배관(PIPE) 사이즈/두께/무게 ASME 표(TABLE)

ENGINEER
반응형

배관 사이즈 별 두께, 무게 차트

(PIPE DIMENSIONS AND WEIGHTS, ASME)

출처는

http://www.tiogapipe.com/assets/files/pipe-chart.pdf

수월하게 일하려면 이런거 하나쯤은 있어야겠죠.

 

 

반응형

[WHY GRE?] Underground Pipe Materail 배수관수로 파이프 자재

ENGINEER
반응형

Why GRE?

 

 

GRE 혹은 RTRP 로 불리우는 Pipe 를 Underground 용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왜 그럴까요?

 

 

(GRE : Glass Reinforced Epoxy

RTRP : Reinforced Thermosetting Resin Pipe)

 

FRP(Fiber Reinforced Pipe) 로 통용하기도 하지요.

 

 

 

장점

 

1. 가볍다.

2. 내부강도를 강하게 가져갈 수 있다.

3. 부식이 되지 않는다. Cathodic Protection 이 필요없다.

4. 열전도가 적다.

5. 싸다.

6. 용접 연결이 아니다. (단점이 되기도 함.)

 

 

무조건 쓰는 것이 좋아보이지만,

 

어려운 점도 분명히 있겠지요.

 

Plain End 로 Lamination 을 통한 접합이 이뤄지고요.

 

 

Bell 과 Spigot 을 연결하는 Socket 형식의 Connection 이 적용되기도 합니다.

 

 

AWWA M45 Pipe Design

(AWWA :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을 통해 주로 Design 이 되지요.

 

 

 

단점

 

1. 외부 압력에 약해 깨지기 쉽고요.

2. 정교한 Design 이 어렵고요.

(Bell and Spigot type 은 Design 대로 설치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3. Connection(Joint) 부위가 약하기도 하고, 작업이 많기도 하고, 두꺼워져 간섭을 일으키기도 하고요.

4. 다들 걱정이 많아 깨지는거 아니야? 하고 조심을 많이 하게 됩니다.

 

그래도 과감히 사용해보는 것이 좋겠지요.

 

대구경이라면 더더욱.

 

 

 

 

반응형

Misc. Steel(Grating, etc.) 의 단위중량.

ENGINEER
반응형

업체나 규격마다 조금씩 다르기도 하나,


        (출처 : http://www.interstategratings.com)

 


 

일단 One of Samples,


(1) Grating : 43.5 kg/m2 (I-32, non-serrated type) - 각종 변수가 있기는 하나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2) Stair Tread : 9 kg/EA (I-32, 750mm x 280mm) - 규격화가 쉬워 사용할 수 있음.

(3) Handrail : 18.4 kg/m - 꺾이는 부분, Splice(이음) 등에 따라 달라짐.

(4) Ladder with cage : 38.8 kg/m (Swing Gate 포함)

(5) Checkered plate : 61.1 kg/m2 (8t)


카탈로그 기준은 아니고, 실제 Delivery 기준

이라 좀 더 현실적인 값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됩니다.


더 많은 Database 를 축적하여 Project Bidding 에 적용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