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긍정의 사소한 만족

터널의 각부 보강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도심지 터널 교차나 저토피 터널, 불연속면이 존재하는 터널의 단면 혹은 편토압이 예상되는 터널.
- 천단변위, 내공변위에 의한 위험성
- 강관다단그라우팅, Forepoling 등을 통한 보강

 



천단부 보강 외에 측벽부의 응력 집중, 침하로 인해 굴착 시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
- 각부의 보강 필요.

각부 보강의 효과




-       변형억제, 하중분산


각부 보강의 종류
-       단면 확대
-       Grouting, Pile 등을 이용한 지반 보강
-       Wing Rib 등의 보조 지보재 적용


적용 사례

 




저토피 터널의 상부 120도 이상만 개착하는 반개착 공법 카린시안(Carinthian Cut Method)와 원리나 적용이 유사함.
링컷, 다단벤치컷 등의 분할 굴착 공법과 함께 적용하여 막장면 안정성을 가져올 수 있음.

각부 지지력 산정 -> 수치해석 -> 응력에 따른 변위, 각부 보강재의 축력 등 산정.

Spring Line 기준 천단부 지보재 시공 후 하반 굴착 시 침하를 최소화 하고,
측벽 변위나 붕괴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토사터널에 각부 보강을 적용할 수 있다.


반응형

산악지 터널/도로 설계 시 고려사항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고려할 인자 : 산사태, 사면 파괴, 낙석, 표층 유실, 토석류 등 (특히 깎기 비탈면)



기본 계획 시 고려사항 (다른 공종에도 사용할 수 있음.)
-       인문 사회적 요소, 문화재
-       교통기능, 안전, 기술
-       경제/환경/경관적 요소 추가

계곡부 통과 방안



설계를 위해 필요한 조사
-       기상조사 (강우, 수해, 한냉, 강설, 강풍 등)
-       비탈면 조사
-       토석류 조사 (유역면적, 경사, 강우특성, 빈도, 지층의 변화)
-       배수시설 조사
-       생태계 조사
-       기존 도로 조사
-       토취장, 골재원, 사토장 조사




선형
-       터널은 최소화가 필요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터널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1)     깎기 높이 40m 이상, 연장 200m 이상


2)     비탈면 높이가 50m 이상, 연장 200m 이상
3)     녹지자연도 8등급 이상
4)     자연경관 보존 필요성에 따라



-       계획 시 고려사항 : 오르막차로, 토공 균형, 비탈면 깎기 높이, 터널 입/출구 정지시거, 평면과 종단선형의 조화


비탈면 설계
1)     쌓기
-       비탈면 안정해석, 경사와 소단 결정
-       배수계획
-       표면보호 방법
-       유지관리 (계측, 정보화시공)


-       안정해석 : 응력조건 변화 (구조물 증설 등), 지하수 증가 (강우, 침투, 배수조건 변화), 발파/지진 등 동하중
-       장단기적 배수조건을 고려하여 유효응력해석 또는 전응력해석.

2)     깎기
-       쌓기와 동일한 조건
-       풍화 여부 판단 필요, 불연속면 방향 고려 필요.
-       연직높이 20m 기준으로 소단, 현황도 작성 필요.

토석류


1)     위험지역 판정
2)     퇴적 발생 지점 결정 (경사도 10도 이하)
3)     퇴적 종식 지점 결정
4)     퇴적 토사 두께 결정
5)     분산각, 퇴적 최대폭 결정
6)     유출 토사량 등 결정
-       대책 : 우회시설, 격자틀, 분리대, 사방댐

반응형

터널 수치해석 모델 (유한요소, 유한차분) + 내공변위제어법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터널의 해석순서



단순 한계평형, 내공변위 해석 및 계측에 의한 역해석에서
수치해석을 적용하게 되면서,
- 탄소성모델, 점탄성모델, 점탄소성모델 등 적용 가능
- 지반의 이방성, 불균질성, 비선형성, 불연속성 등 재료의 특성도 반영하여 해석 가능
- 시공 단계별 Simulation 가능 – 거동 예측



Kirsh 의 해 : 원형에만 적용 가능
- 응력의 재배열. 탄성영역/소성영역 구분 및 소성평형
- 초기 (r=a) 와 K0 값의 변화에 따라 탄성변형. (측벽과 천단부) 측벽 변형량이 더 크다.
- r/a 가 커질수록 (소성영역에서 탄성영역으로 갈수록) K0 는 전단과 수직응력이 1:1로 수렴(K0에 관계없이)

해석모델의 종류
1. 유한요소법
- 요소와 절점으로 구성하여
- 응력-변형률 관계를 이용한 해의 정의
- 복잡한 지반조건의 해석, 불균질성 해석, 시간의존성 해석 가능
-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저장량이 필요하며, 모델을 작성하는 사람의 숙련도나 지식이 필요.
- 경계조건 설정이 중요함.
2. 유한차분법
- 유한요소법과 비슷하나, 미지수의 해법이 시간 단위의 기준으로 동적해석이나 시간당 변화량 등에 적용됨.
- 계산 시간이 짧고 저장용량이 적으며 미소변형 뿐 아니라 대변형의 해석이 필요.
3. 경계요소법
- 마찬가지로 지반을 연속체로 간주하고
- 경계부분만 해석하고, 선형 거동에 유효한 해석방법
- 시간의 변수 등을 적용하기 어려움.
4. 개별요소법
- 지반을 각각의 강성블록으로 생각하고 진행.
- 핵석을 떠올리고
- 절리의 변위가 블록 자체의 변위보다 큰 경우 적용 가능.
5. 혼합법



수치해석은 경험적 방법(RMR, Terzaghi, Q-system 등) 과 비교될 수 있다.

내공변위 제어 방법 원리 3가지. (LDP 종단변형, GRC 암반반응, SCC 지보특성)


반응형

일반터널 장대터널 해저터널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일반 터널
- 2차사고 위험 방지
- 취약 지반의 비율이 큼. (저토피 등)
- 선지보 단면 적용 가능.



장대 터널
- 단선, 병렬, 대단면 터널 고려.
- 환기/방재시설에 집중 (수직갱 확보)
- 갱내환경개선, 자동감지설비, 내진설비, 길어깨/각실 공간 확보 등
- 구난 시나리오 필요.
- 유지관리에 대한 편의성 확보 필요.
- 자동 계측 관리 시스템 확보 필요.
- LCC 고려 필요.
- 단층/폐갱/가스/공동 등 확인 필요.
- 지질 변화 및 Risk Management 를 통한 대응 시나리오 계획 필요.
- 굴착 Cycle 의 활용도 높음.
- 내화 콘크리트 적용, 운전자 피로감 최소화 필요
- 교통/환경 영향평가 필요.



해저 터널
- 배수, 방수, 전기, 조명, 수송, 계측 등 종합관리 시스템 필요.
- 지형, 지질, 지역여건 고려한 공법 및 선형 확인
- 시공중 환기 및 방재 시설 확보 및 계획 (수직구 등)
- 고수압 대책을 위한 차수/방수 보강 대책 필요.




2 아치터널


-       2 아치터널 : 확폭터널에 비해 주변지역/환경영향이 적고, 노선 분리를 통해 도로 선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

-       누수
1)     중앙벽체 연결부 : 지하수 누수 및 흘러내림. 콘크리트 부식. 이음부 방수시트 손상.
2)     대책 : 연결부 추가 배수시설, 수직배수관 굴곡 최소화, 방수 sheet, 중앙벽체 보호

-       동결
1)     수직배수관을 열전도율이 좋은 동관으로 사용. Heating cable 적용. 보온재 적용
2)     벽체 하부 배수관은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의 관을 적용.
3)     집수정 설치 및 하부 Clean-out hole 설치

반응형

터널 라이닝의 유연성비 (F), 압축성비(C)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터널 라이닝 : 연약한지반에서는 강성체로 거동하고, 강성지반에서는 연성체로 거동한다.



라이닝은 모멘트가 Governing 상수이기 때문에 F 값의 검토가 중요하다.


Flexibility Ratio (F) 유연성비
-       라이닝 Bending Stiffness 에 의해 결정되는 요소


-       터널 반경이 크면 유연성비가 크다.
-       라이닝 강성이 크면 F 가 작아짐
-       지반 강성이 작으면 F 가 작아짐.
-       Flexible 과 Stiff의 경계를 F=10 으로 구분하며, F>10 이면 Flexible 하다. 지반이 라이닝보다 유연히 움직인다. 연성으로 라이닝에 하중을 줄 수 있게 한다는 의미.
라이닝의 두께나 강성보다는 철근을 많이 삽입하도록 관리.



Compressibility Ration (C)
-       지반의 압축 강성, 라이닝의 Hoop 강성


-       두께가 두꺼우면 작은값, 토사의 경우 1보다 작게 설계

반응형

터널 설계 방재 환기 굴착 내진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효율적인 터널 설계



1. 안정성 증대 : 단층, 편압, 지진, 수압 등에 안전한 터널. 시공실적, 해석실적이 검증된 설계.
2. 친환경 : 갱구부 절토최소화 설계, 발파진동,소음,수질오염 최소화, 민원 최소화를 위한 가시설계획 포함
3. 시공성 : 시공 난이도 고려, 문제점 제고, BIM 등 현장감 반영, 자연조건 순응 및 반영구적 구조물 계획
4. 유지관리 : LCC 최소화, 충분한 방수/배수 시스템, 유지관리 환경 최적화.

환기계획 및 설계

1. 고려사항
- 교통량, 선형, 주행속도, 기상, 터널의 길이
2. 소요환기량
- 대상오염물질 : 매연,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 차종별 기준배출량 기준 산출.
- 식을 외우기는 어렵고, m3/s km lane 이라는 단위만 기억하는걸로.



3. 오염물질 허용농도
4. 환기력 : 자연환기력, 교통환기력(차량의 피스톤효과)
5. 환기방식



종류식 : 차량 진행 방향의 기류, 교통환기력 유도, Duct 가 없다.
횡류식 : Duct 로 송기와 배기. 차도 내 풍량은 작다.
반횡류식 : 한쪽면에서만 Duct 적용 (송기 or 배기)



방재등급 구분
- 1등급 : 3km 이상
- 2등급 : 1~3km
- 3등급 : 500m ~ 1km

방재시설의 종류 (위험도지수의 기준 등급을 함께 고려함.)
- 피난설비 : 피난연락통로 1,2,3 / 비상주차대, 피난대피터널, 비상조명등, 피난연락갱(쌍굴터널 차단문 설치, 300m 이내)
- 소화설비 : 소화기구 30m간격 50m이내, 제연설비(환기설비) 필요시, 소화전 1,2, 연결송수관 1,2, 비상콘센트 1,2,3
- 경보설비 : 비상경보, 화재탐지, 비상방송 50m 이내, 긴급전화 250m 이내, CCTV 200~400m 간격, 라디오1,2,3,4, 정보표시판1,2, 진입차단시설 1,2
- 비상전원 : 비상발전, 무정전전원

터널 위험도 평가기준 (5등급, 위험도가 2를 초과하면 방재등급 1단계 상향)
- 연평균 일교통량 x 터널연장 (8~64)
- 경사도 1~3%
- 대형차 혼입율 10~25%
- 위험물 수송에 대한 규제
- 정체정도
- 통행방식 (일방, 대면)



방재시설계획

1. 연소방지시설 : 라이닝 불연재, 케이블 난연성
2. 차량통제시설 : CCTV 200m, 화재탐지, 비상전원, 피난유도
3. 비상연락장비 : 유선전화, 라디오 등
4. 대피통로 : 경사/수직터널, 피난갱,
5. 구조 : 콘센트 100m 간격, 안내표지, 이정표
6. 소방 : 소화기, 소화전 100m, 소화배관 6”, 방수구, 가압펌프
7. 제연/환기 : 제연커튼, 배연시설



굴착공법

1. 고려사항 : 지질구성, 터널선형, 터널 크기, 단면 형상, 시공성, 공사비 고려.
2. 종류 : NATM/NMT, Shield or TBM + NATM, ITC, road header



3. 굴착방식 : 전단면, Long/Short/다단 Bench, 가인버트, 중벽분할, Silot
4. 갱구부



5. 내진설계



기능수행수준은 구조물의 응답을 선형해석법을 이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
붕괴방지수준에서는 구조물의 응답을 비선형 거동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해석방법으로 설계한다.

(유의사항)
- 라이닝두께를 증가시키기 보다는 철근을 넣어 인성을 증가시킨다.
- 기둥은 압축/전단파괴보다 휨인장파괴가 먼저 일어나게 한다.
- 땅깎기 비탈면의 적당한 기울기를 확보하여 토류벽을 형성한 갱구부를 설계한다.
- 액상화 방지
- 이음부에는 강성이 작은 이음장치 설치

반응형

터널 이완하중 (Terzaghi, Bierbaumer) - 콘크리트 라이닝, 수치해석 모델(GLI)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Terzaghi 터널 (암반) 이완하중
- Ko 측압계수, 토피고, 암반등급
- 재래식 터널공법(ASSM), 전토피 하중을 다 받음.
ASSM (American Steel Support Method) : 1차 라이닝, 2차 라이닝에 의해 이완하중을 지지한다고 가정.
NATM (New Austria Tunneling Method)



하지만 천층터널이나 암질이 양호한 경우 과다 하중 분포
(2C 를 빼기도 함. 암반하중을 실제화하도록 축소하기 위하여)





- Bierbaumer 와 비교



(Parabola : 포물선 형태가 다름.)

- Barton 과 비교
- Bieniawski 와 비교 (RMR), Wickham (RSR, Rock Structure Rating)
- Type-1~4 (Terzaghi 암반분류) 에서 Terzaghi 암반분류는 토피고 하중 높이가 증가하나,
실제로는 크게 증가하지 않고, Type-4(풍화암) 부터 토피고 하중 높이가 증가함. (이완하중 고려하면 됨. 이완하중 감소효과 30%)
- 측압계수의 변화를 적용할 수 없음. (측압계수가 감소하면 Terzaghi 와 유사한 값을 가짐.)
측압계수가 1 이상이면 역시 이완하중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라이닝 (터널 라이닝, Lining)
- 역학적 접근을 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음. (1차 지보재가 지지하고 있기 때문) – 원칙적으로는 1차 지보에 의해 터널변위가 수렴된 상태에서 라이닝 시공.
- 역학적 접근 : Shotcrete 의 AAR 에 따라 열화를 입어 라이닝이 필요하다. 그럼 이완하중 계산은?
- 지반-라이닝 상호작용 (Ground-Lining Interaction) 모델 적용. -> 새로운 응력 재분배가 이뤄질 수도 있음.
수치해석을 통해 각 부분을 Terzaghi 암반 분류에 따른 하중을 적용하여 해석


반응형

터널지보재 (강지보재, 숏크리트, 록볼트(락볼트))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터널을 안전하게


터널이 하중을 받으면, 아니면 저토피 구간에서는

하중전이(아칭효과)가 발생하지 못하여 과도한 토압발생.

소성영역
1. 터널 반경에 따라 선형적으로 소성영역(원형) 증가
2. 중력에 의한 수직 토압이 내부응력보다 큰 경우 발생.
3. 내부마찰각이 클수록 소성영역은 작아짐.
4. Terzaghi 토압론 : Dilatancy (조밀/느슨, 지반의 부피변화) 고려하지 못함. 과다한 소성영역. 힘의 평형상태만 고려. 터널상부의 지표깊이 전부가 소성영역
5. 변위 발생 -> 응력 저감 -> 소성 파괴 (소성 영역내 암반 균열 등)
6. 지보를 설치하면 소성영역이 작아짐. (응력은 접선응력을 말함.)



가축성의 의미 : 변위를 하용한다.
- 경제적인 지보가 된다.
- 원지반의 강도를 활용한다. (NATM)
- 암반반응곡선(GRC), 지보특성곡선(SCC)와 연결. (탄성/소성영역)

http://huedor2.tistory.com/822

터널 수치해석 모델 + 내공변위제어법

터널의 해석순서 단순 한계평형, 내공변위 해석 및 계측에 의한 역해석에서 수치해석을 적용하게 되면서, - 탄소성모델, 점탄성모델, 점탄소성모델 등 적용 가능 - 지반의 이방성, 불균질성, 비

huedor2.tistory.com




1. 지보재의 구분
- 연직갱 : 지반조건, 단면형태, 라이닝 시기 등 고려. 지하수 유동성, 급격한 변화 등 감안.
- 경사갱 : 시공법, 지반조건 등 고려.
- TBM : 지보패턴의 등급 조절, 지보재 설계의 경량화 가능. Shield/Open 의 구분.


2. 지보재의 종류

- 강지보재 : 숏크리트 타설용이, 일체화 용이 고려 필요. (H, U, Lattice). 숏크리트 두께, 최소덮개, 굴착공법 등 고려. 좌굴, 비틀림 저항성 고려 필요.
(SS400, fy 500MPa 이상)
* 목적 : 큰 지압 지지, 다른 지보재 기능 발휘 전까지 굴착면 조기안정 도모. 숏크리트와 결합하여 강성증대. 경사볼트 Forepoling 등의 반력지지점.
* 유의사항 : 전도 방지를 위한 간격재 필요, 바닥판 지지력.


- 숏크리트 : 설계/재료/시공 관련 고려. SFRC, PFRC 등. (필요 시 Wire Mesh), Gmax 10mm 이하. 내구성 (1일 압강 10 MPa 이상, 28일 21 MPa 이상.)
응결 경화 촉진 필요. 장기강도 저하 방지, 부착성고려, Chemical 성분(강재 부식우려)
* 목적 : 외력 분산, 아칭효과 (응력전이), 붕락방지, 각부 보강, 차수(지수)
* 유의사항 : 조기강도 발현, 부착성, 반발률, 방수/배수 시공. 최소 50mm 두께. RMR/Q-system 고려.

- 록볼트 : 이형봉강, FRP 도 가능. 영구지보재인지 아닌지 고려 확인 필요. (D25 이형철근 일반적)
12.7mm 7연선, 지압판 (두께 6~9mm)


* 효과 : 봉합, 내압 (측압, 잡아주는 역할, 3축응력), 아치, 보강 (잔류강도 향상)
* 유의사항 : 인발내력 확보, 필요시 프리스트레스, 8m 이상 시 유의, 부식방지용 시험 (Corrosion Allowance). 터널 이완영역보다 길게 적용., Minimum L = 2S(설치간격)
* 종류 : 선단정착형, 전면접착형, 혼합형, 자천공형, 시멘트 사용, 랜덤볼트(부분적), 시스템볼트(규칙적, 아칭효과)
* 시공 : 천공(청소)-삽입-주입 (D45, pi25, L5m),


* 배합 : W/C = 0.35, 양생 후 조이기, 용수 시 수발공, 인발시험 20ton (L=6m 기준, 2% 개수)



Forepoling : 각도 15~20도, 간격 40~60cm, 길이 2~3m, D25철근 or D32 CSpipe, Mortar 주입. 2막장마다

강관다단그라우팅 : 각도 5~10도, 간격 40~60cm, 길이 12~16m, 50~120mm Pipe or FRP, 중첩길이 6~12m, Packer 사용한 봉합.




반응형

BIM 의 확장성은 과연? (터널부터 건물까지)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BIM 은



4차산업혁명의
3D, Cloud, 실시간 등의 키워드가 들어간 새로운 패러다임.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단순 3D model 이 아닌, 현황-설계-시공-유지관리 등 모든 것을 하나로 통합(Integration) 한다는 것이 중요.



- 설계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3D 에 (BIM) 터널의 보강패턴을 반영하여 시공 중 간섭이나 순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디지털 사진 기술(3D Laser Scan) 을 통해 굴착면 3D 모델을 생성하여 정량적으로 암판정을 하고, 기록을 DB 에 저장할 수 있다.



- 모든 사람이 Face mapping 에 참여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현장 상황을 많은 전문가들에게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것이 관건.
- 암질평가를 원활히 하여 적정한 보강 및 안전사고 방지 가능.
- 자동화된 공정관리와 모델을 활용하여 설계 뿐 아니라 시공/유지관리 단계에서도 BIM 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음.
- 굴착면의 Digital 3D mapping 을 통한 터널 시공 계획 관리
- 사업 계획 시 전체적인 3D model 을 통해 발주차/설계자/업체 등의 이해를 돕기 쉽다. (Error 발생, Miscommunication 최소화)
- 기본설계와의 비교, 실시설계의 검증을 통해 Re-work 을 줄이고, 업체와의 Claim 을 최소화 할 수 있음.
- 건물 내 Duct, Tray, Pipe 등 많은 시설물이 겹쳐서 이동하는 경우 간섭 확인에 용이함.



- 시방서 기준 이격거리 등을 사전에 확인하여 관련 규정 준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
- Cloud 작업을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공유할 수 있음.
- 공종이 다양해지고 서로간의 협의 (Integration) 가 중요해지는 만큼 2D 도면이 아닌 3D 로 서로의 상황을 확인하는 것은 도움이 됨.



- Function (기능) 과 Cost (비용) 의 함수인 VE 는 프로젝트 초기에 효과가 커지는 만큼 초기부터 BIM 을 통한 노력들은 Potential 원가절감에도 큰 도움이 됨.







반응형

터널 설계의 일반, 라이닝, 암석계수, 복공 두께

ENGINEER/토목-Civil
반응형

국가 건설 기준 센터에 나온 내용을 요약



암반의 초기 응력
- 굴착 전 원지반이 가지고 있는 응력.

터널 굴착방법의 종류
- 전단면/수평/수직분할/선진도갱굴착
- 인력/기계/파쇄/발파
- 기계의 종류 :
무쉴드 : 로드헤더, 그리퍼
쉴드 : 개방형(그리퍼, 추진잭), 밀폐형(이수,토압,혼합)
연암 이하의 경우 지보가 필요한 경우, 밀폐형 필요.
(압으로 막장면을 유지하면서 굴착 필요.)
- 커터의 종류 : 디스크 커터, 커터비트(크롬몰디브덴강, 니켈크롬몰디브덴강+초경합금 용접), 카피커터

터널 구성 : 굴진면(막장면), 굴진구역, 굴착구역, 후방구역

터널 조사의 종류 : 입지환경조사(지형도, 항공사진, 인공위성사진, 주변환경, 지장물, 사토장), 지반조사(노선 선정을 위한 예비조사, 계획 후 설계/시공계획을 위한 본조사, 보완조사), 시공 중 보완조사(문제점 해결을 위함. Face mapping 과 연결)
- 본조사 : 지표지질조사, 지구물리탐사, 시추조사(NX 이중 코아배럴, 노선방향 50~200m, 바닥부계획심도+직경/2 깊이까지, 갱구부는 반드시 포함), 현장시험 (표준관입시험, 현장투수시험, 루전시험, 공내재하시험), 실내시험
- 설계정보 : 토사-통일분류법, 암반-압축강도, 탄성파속도, 변형계수, RQD, 불연속면(간격,상태,방향), 지하수 상태, 초기응력 상태
- RMR=9lnQ+44 or RMR=15logQ+50
- 이에 따라 터널크기, 굴착패턴, 지보패턴 결정.
- 계획의 종류 : 조사계획, 계측계획, 갱구부/작업구 계획, 방수형식계획, 환기계획, 방재설비계획


RQD : NX 규격 이상의 코어로 10cm

응답변위법 : 표층 지반의 전단 진동에 따른 변위를 지반 속에 위치한 터널에 입력하여 터널의 변형과 응력을 산정하는 내진설계방법. 지진 시 지층지반의 변위는 일반적으로 수평변위를 대상으로 함. 응답스펙트럼법, 유한요소 진동모델 법.



인버트 : 터널 단면의 바닥 부분을 통칭. 원형 터널의 경우 바닥부 90도 구간의 원호 부분, 마제형 및 난형 터널의 경우 터널 하반의 바닥 부분을 지칭. 인버트의 형상에 따라 곡선형 인버트와 직선형 인버트로 분류. 라이닝 유무에 따라 폐합형 콘크리트라이닝과 비폐합형 콘크리트라이닝으로 구분.

물리탐사 : 탄성파, 전기비저항, 중력, 자기, 전자, 방사능

환기방식 : 종류식 – 제트팬식, 수직갱 송배기식, 집중배기식, 횡류식

계측
- 지중침하 : 인접지반의 침하를 보기 위해 터널 천장을 기점으로 지표로 갈수록 각 지층의 침하량을 확인.
- 지표침하 : 터널 종단/횡단 방향으로 침하판을 설치하여 상대적 침하량 측정



라이닝에 대하여 특별판

1. 라이닝의 목적 : 굴착면 안정성,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 차수, 철근 콘크리트 or SFRC, 지보재 부식 방지, 터널 부착물 지지공간 확보
2. 두께 : t = 0.19 C r^0.5. (C : 암석계수, 탄성파속도에 따름)
300mm 보통, 부분적 100~200mm, 단면 크기에 따라 다름.
3. 형식 : 측벽형, 인버트형 (폐합), 원형, 마제형
4. 시공 : Caster 가 부착된 Sliding Form 사용. SFRC (30kg of Steel fiber / m3), Joint 관리
필요에 따라 Geotextile 등 토목 섬유나, HDPE sheet 등 설치 (배수/비배수 터널). 수발공/배수측구 유지여부 결정 필요.
- 전권 : 전단면 일시시공 – 작거나 지반 양호
- 역권 : 상부 -> 하부
- 순권 : 하부 -> 상부 – 지반 불량. 측벽선진도갱
- 가권 : 선행복공. 이완영역 방지
5. Bench cut 의 경우 가 Invert 가 형성되기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