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두께 제한 600mm 재료분리 사이즈 제한 600mm 필요시 소할발파 (사혈, 경사, 점토) 300mm
다짐이 중요. - 다짐장비 - 속도, 진동수 - 층별다짐 검측 후 다음층 시공 - 1차 습윤 : sheeps foot, Tamping roller, 겹침폭, 시속 - 2차 진동롤러 : 출력에 따라 각 2회씩 - 3차 무진동 - 비탈면은 2회 더
다짐시험 : 평판재하, 침하량, 입도,현장밀도,공극률, k30 > 20kg/cm3 이상으로 관리
외측은 입경 크고, 내측/중앙부는 입경 작게 하여 안정성/배수성 확보 절성토 접속부 피해야 함. 침수예상 구간 피해야 함. 암성토 하부 1:10, 암성토 1:2, 계획비탈면에서 60cm 떨어진 곳에서 마무리. 하차-공극채움재 하차-깔기, 고르기 (층마다 토사 캡핑필요.)
평판재하시험은 기초와 포장체 하부의 강성, 지지력을 확인하기 위한 것. 1. 순서 - test pit 굴착 - test plate (30~60) - extension pipe - Hydraulic Jack - Dial Gauge - Reaction Beam - 0.35 kg/cm2 씩 재하 - 15mm 될 때까지 or 항복 or 최대접지압
2. 원형과 사각형의 차이? - 원형 D = 사각형 Area 가 같도록 하는 것이 비슷한 결과를 가질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보정이 필요함. 큰 plate 일수록 같은 하중에서 큰 처짐을 가짐. 그래서 K30 = 2.2/1.5 K40 = 2.2 K75
4. 응력-침하 곡선, 항복이 있으면 그걸 ultimate 으로, 없으면 최소 경사와 최대 경사가 만나는 부분으로 결정. ultimate 기준으로 안전율 (2.5~3) 적용하여 allowable 얻어냄. Elestic Zone, Plastic Zone 의 판단 5. 사질 : 지지력이 크기에 비례, 처짐은 요상하게 비례 (Terzaghi, Peck) 점토 : 지지력은 일정, 처짐은 크기에 비례
1. 목적 : - upgrade bearing capacity, reduce different settlement - 연약지반 개량, 대규모, 심층혼합처리, 준설치환 - 높은 다짐에너지를 이용하여 Gravel 을 압입 - 밀도 증대, 액상화 방지, 수평저항력 증대 (사질) - 전단강도 및 지지력 증가, 측방변위 억제, 압밀침하량 저감 (점토) - 개량 범위가 크고 부등침하를 막아야 하는 Large-Diameter Storage Tank 등에 사용.
이용 : 쇄석, 잠석, 폐건설골재 등 투수성 높은 재료로 Vibrocompozer 이용.
치환율 : 30~70%. 경제성에 대한 고찰 필요. 저치환율 공법 개발 필요.
지지력 : 2~7배 증가. 시공전, 시공후 개량 검사 시험 필요. (PBT, SPT, Vane, etc.) 혹은 실제 정재하 시험 필요.
3. 거동 : 구성 재료가 분산되는 비강성, 기초와는 다르게 팽창파괴거동. 하중을 가하면 부풀어지며 영향 지역까지 흙의 응력을 함께 부담.
4. 시공 시 유의사항 : - 자재 : 40mm 이하, 200번체 3% 이하 통과, 1x10^-3 cm/s 이상 투수계수 - 타입기계 : 타입 길이, 투입재료의 양을 기록 필요. - 시험시공 필요. --> 시공심도, 관입능력, 자동기록기의 정도 - 타입 - 인발 (1.5~3m) - 재관입 (1~2m) - 허용오차 300mm, 2 degree 수직도 - 에상 N 치까지 도달한 경우 중단, 30 초간 200mm 이하이면 중단 - 장비는 중심에서 외곽, 기존 근처에서 신설, 경사 하부에서 위로, 후진하면서 - Clogging 되지 않도록 유의. - 사후 침하관리, 계측관리 5. 특징, 장단점 : - 저렴 - 횡력 거동을 잡아줄 수 있음. (Sand slip plane 을 추가하여 기초와 하부 지반의 거등을 막음.) - Bearing Capacity check 을 위해 Static Test (신뢰성의 문제) - Moment 나 Tension 를 받으면 안된다. - Casing 사용 여부에 따라 장단점 달라짐. 6. 시험 - 정재하 (Test pile, Reaction pile, Group effect) 7. Bulging - 쇄석과 지반이 하나로 거동. 연약점성토의 경우 Bulging 현상(Failure, 팽창파괴)으로 지지력 오히려 감소.
(2~3D 깊이) 연약점성토를 조립토가 밀어냄. 상부 casing 사용 으로 해결할 수 있음. Stone Column, 진동, Vibrocompozer (쌓인 모래 밀어넣기, 인발하면서 모래 한번 더 채워넣기, 진동이 겻들여짐.) (참고 : Vibroflotation (수평봉진동, 수직살수)) 물이 있고 없고, 수직진동, 수평진동을 구분하자
복합지반 침하예측 - 등가원주모형 : 영향지름을 고려한 해석. - 평형방법 (Equilibrium) : 응력분담비 적용. 원지반과 개량지반의 침하비 산정. 면적 치환율로 응력분담비 고려. - 쌍곡선법 : 시간에 따른 침하량을 추측하여 장래 침하량을 예상. - 시험에 의한 예측 : 원통형 셀시험기, 다공판, LVDT - 초기 압밀은 비슷, 치환율이 클수록 압밀 종료 시점이 빨라짐. 압밀 촉진.
- 원인 : 차량의 집중하중이나 노상의 압밀. 다짐 부족, 설계오류, Mix design(재료/ 배합) 오류
아스팔트는 보통 5% 인데 너무 많거나, 골재량이 부족하거나
- 대책 : 10mm 기준으로 보수여부 결정. Overlay, 절삭 후 overlay.
2. Corrugation
- 횡방향 파형 소성변형. (Shoving)
- 원인 : 급제동, 급정거, 다짐부족, 강성 부족, 재표/배합, 다짐 시 건조측 다짐 실패
- 대책 : Overlay, 절삭후 overlay, Patch, 부분재포장, 전면재포장
3. Reflection Crack (반사균열)
- 원인 : Rigid, Flexible 의 조합에 따른 균열. 물의 침투, 표면 거침의 문제, 온도 변화에 따른 다른 물질의 변형량 차이에 따름. Joint 부의 문제,
- 대책 : 10mm 이하는 sealing, Joint 부 맞추기, Concrete Joint 부 적절한 다짐, 10mm 이상 균열은 Overlay, 절삭 후 overlay.
4. Pothole
- 원인 : 피로균열, 균열이 과한 부분이 결합되어 주저앉음.
- 대책 : Patching
5. 기타 : Shiny agreegate 에 따른 slippery condition, Asphalt 과다, Void 적음에 따른 Bleeding, Joint 관리를 잘 하지 못해 발생하는 Longitudinal, Patching, 재료분리, 다짐부적절에 따른 물고임등에 따른 Raveling.
원인은 비슷, 대책도 비슷
종류를 파악하고 어떻게 만들어 가느냐가 중요.
예방대책은 우수한 개질 아스팔트, 침입도, 굵은골재, 공극률, 온도관련, 다짐장비관련, Tack Coating 관련 시공관련 내용으로 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