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영어 시간이네요. 일을 하면서도 접하고, 현지에서 코로나 검사를 받으면서도 들었던 단어이기에 다뤄봅니다.
Out of Pocket Expense 우선 검색을 통한 사전적 뜻은 구글 번역기를 돌려보니 본인 부담 비용이라고 나오네요.
Out of Pocket 말 그래도 내 주머니에서 나오는 비용을 말합니다. 회사가 대신 내어주거나, 계약에 있는 금액이거나, 출장비에서 회사가 우선 정산해주거나, 보험처리가 되거나 하는 비용이 아닌, 내돈내산 개념이지요.
예시1) 코로나 검사를 받으러 갔습니다. 예약이 많아 저녁에나 다시 오라고 합니다. 그래서 좌절을 하면서도 얼마인지나 물어보려고 How does it cost for testing? 했더니, Are you going to pay out of pocket? 이라고 하더군요. 흑인분이 말씀하시는거라 몇 단어 놓쳤을 수도 있지만. 그래서 순간 머리 속으로는 주머니에서? 뭔말이지? 했지만, Out of Pocket 이라고 하니 대접이 달라지더군요. 회사나 나라에서 지정한 손님이 아닌, 무려 200 USD 를 내고 검사를 하겠다고 게다가 Out of Pocket 으로, 그랬더니 5분 만에 검사를 잡아주고 신속항원이라 15분만에 결과도 받게 되는 기적을 맛보게 됩니다. 역시 자본주의 미국...
예시2) 업체와 계약을 맺고 자문 역할을 하면 일당으로 hourly 얼마 계약을 맺었습니다. 그에 따라 Invoice 가 올라오고 지급을 하려고 하는데, 아래 부분에 Out of Pocket Expense 가 있네요. 뭔가 봤더니 계약된 일당이 아닌 출장을 다니면서 사용했던 비용. 즉 본인부담비용을 실비로 청구하더군요.
명확히 무엇이다 라고 정의하는 것은 영어에 큰 도움이 되지 않더라고요. 그들의 문화, 그들의 심리, 감정, 상황을 이해하려면 어렴풋하게 알아두는 것이 좋다는 생각입니다.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는 것을 상대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상향 혹은 하향으로 연쇄적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일컫는 이론이다. 주택이 새로 지어지면 그곳으로 이동하고, 기존은 다른 사람들이 채우게 된다. 상향 여과 : 저소득층 지역의 재개발이나 보수 등을 통하여 상위 계층이 사용하도록 이동되는 경우. 지역이 기준이고 소득층이 이름을 붙이는 (상향) 근거가 된다. 하향 여과 : 반대로 어떤 지역의 계층이 고소득층에서 저소득층으로 주거가 변경되는 경우. 지역의 발전이 아닌 사람의 이동에 따라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가정을 해보면, 1. 해당 지역이 발전한다. 상위계층이 들어올 확률이 커진다. 지역이 상향으로 여과된다. (혹은 순환된다.) 2. 해당 지역이 도태되거나 현상 유지를 하는데 다른 지역으로 고소득층으로 빠져나가기 시작하면서 저소득층이 사는 지역으로 여과된다. 하향으로 여과된다. 3. 시장에 고급 주택이 공급되면, 고소득층이 이동하고, 빈자리를 저소득층이 채우면서 하향으로 여과된다. 4. 각종 보조금이나 세제혜택 등이 저소득층에게 많아지는 경우, 지역이 하향 여과될 확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5. 저가 주택이 고가 주택으로 전환되는 경우 상향 여과가 일어난다. 6. 소득이 증가하는 경우 저가 주택에 대한 수요가 감소되어 재개발이 요구되면서 상향 여과된다. 7. 리모델링이나 보수를 하는 경우 주택의 가치가 많이 상승되는 경우, 상향 여과된다.
사는 사람을 기준으로 상향인지 하향인지를 판단하고, 나머지는 합리적으로 생각해볼 수 있는 부분이다.
Desgin Build Design-Builder 를 앞서 선정하여, 하나의 팀으로 설계부터 시공까지 진행.
(장점) - Bid 절차가 없어 빠른 진행이 가능 - 고품질 가능. (Bidding 에 따라 싼 가격으로만 선택하지 않게 되므로) - Contractor 를 일찍 참여시켜 예산을 일관성 있게 예측, 사용할 수 있다. - 업무들이 윤활하게 일관성있게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는 장점. - One team 개념으로 발주자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단점) - 경쟁이 없기 때문에 가격 검증이 어렵다. - 품질은 보장되나 공격적이고, 적극적이며, 창의적이고 새로운 적용을 기대하기 어렵다. - 가능한 업체를 찾기가 어렵다.
Design Bid Build Design 을 우선 진행하고 QS 를 진행한 후 Construction 을 Bidding 한다. Construction Bidding 을 한 후 예산이 초과하면 설계를 변경하고 다시 Bidding 한다. (장점) - 경쟁입찰에서 얻는 Cost 강점. - 별도의 조직들이 각자의 책임에 따라 업무를 수행. 복잡한 협의나 의사결정 상황이 생략된다. - 장악력이 커진다.
(단점) - 설계와 시공을 따로 관리하기 때문에 발주자의 관리 비용이 증가한다. - 설계/시공이 각각의 업무만 관여하기 때문에 각각에 대한 Change Order 기회가 많아지고 리스크가 된다. - 예산 확정이 늦어지고 예산이 초과하는 Construction Bidding 이 되면 설계 변경이 필요해진다.